안녕하세요.
오늘도 여러분들이 자주 헷갈릴만한 맞춤법을 가져와 봤습니다.
뭐냐면요, 바로바로! 두구두구두구!
‘너머’와 ‘넘어’입니다.
잉? 너무 쉬운 거 아니냐고요?
‘넘어’가 맞는 표현이고, ‘너머’는 ‘넘어’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잘못된 표기 아니냐고요?
과연 그럴까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살펴보도록 하시죠.
먼저, ‘너머’와 ‘넘어’의 사전적 정의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너머: 높이나 경계로 가로막은 사물의 저쪽. 또는 그 공간.
예를 들어) 붉은 해가 언덕 너머로 뉘엿뉘엿 사라져 갔다.
- 넘어: '너머'의 비표준어.
어떤가요? 생각했던 그대로인가요? 아니면, 정반대인가요?
어? 아닌데… ‘넘어’라는 글자를 책 읽다 분명 본 거 같은데, 이게 비표준어라고?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생각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넘어’가 ‘너머’의 비표준어가 아닌, 올바른 맞춤법 표현으로 쓰일 때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물이 넘어 수도꼭지를 잠갔다.
위 예의 문장에선 '넘어'가 올바른 맞춤법 표현입니다.
어렵다고요? 너무 헷갈리신다고요?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 내용은 이만하면 됐고, 암기 꿀팁 나갑니다!
자, 이해하기 쉽게 ‘너머’는 ‘뒤에 있는 공간’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와 같은 뜻으로 ‘넘어’를 쓴다면 그것은 분명한 비표준어인 셈이지요.
그러나!
‘넘어’라는 표현이 쓰일 때 동사 ‘넘-’의 의미가 유지되고 있는 경우라면 위에 적은 예처럼 ‘넘어’를 쓰는 것이 올바른 맞춤법 표현입니다. 왜냐하면 이 경우, '넘어'는 동사 '넘-'에 '-어'가 결합한 말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이것만 기억합시다.
뒤에 있는 공간을 의미하면 -> 너머
동사 ‘넘다’의 의미가 유지되면 -> 넘어
우리 이제 앞으로는 '너머'와 '넘어' 헷갈리지 말자고요!
[헷갈리는 맞춤법] 애먼 사람, 엄한 사람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 여러분들과 이야기 나눠볼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은 ‘애먼 사람’과 ‘엄한 사람’입니다. 이 두 표현 중 어떤 게 올바른 표현일까요? 두 개 다 올바른 맞춤법 표현 아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반증, 방증
안녕하세요. 오늘 여러분들과 함께 공부해 볼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은 ‘반증’과 ‘방증’입니다. 두 단어 중 어떤 단어가 옳은 표현일까요? 정답은, 둘 다 올바른 맞춤법 표현입니다. 다만, 그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에요, 예요, 이에요, 이어요
안녕하세요. 오늘 여러분들과 함께 이야기 나눠볼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은 바로, ‘에요’, ‘예요’, ‘이에요’, ‘이어요’입니다. 글자의 생김새나, 발음이 비슷해서 앞선 네 가지 맞춤법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순댓국, 순대국
안녕하세요. 요즘 기온이 많이 내려가 입김이 나오는데요, 이럴 때 생각나는 식사 메뉴를 오늘의 헷갈리는 맞춤법 소재로 잡아보았습니다. 그것은 바로바로! ‘순댓국’, ‘순대국’입니다. 식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좇다, 좆다, 쫓다, 쫒다
안녕하세요. 오늘 우리가 함께 알아볼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은 ‘좇다’, ‘좆다’, ‘쫓다’, ‘쫒다’입니다. 여러분들도 이 단어들 때문에 헷갈리신 경험들 있으시죠? ‘좇다’, ‘좆다’,
ohsho30.tistory.com
'- 우리말 바로잡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천장, 천정 (0) | 2023.03.07 |
---|---|
[헷갈리는 맞춤법] 부기, 붓기 (0) | 2023.03.06 |
[헷갈리는 맞춤법] 애먼 사람, 엄한 사람 (0) | 2023.03.04 |
[헷갈리는 맞춤법] 반증, 방증 (0) | 2023.03.03 |
[헷갈리는 맞춤법] 우리 나라, 저희 나라 (0) | 2023.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