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 여러분들과 함께 공부해 볼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은 ‘반증’과 ‘방증’입니다.
두 단어 중 어떤 단어가 옳은 표현일까요? 정답은, 둘 다 올바른 맞춤법 표현입니다.
다만, 그 의미와 쓰임이 다르지요.
‘반증’과 ‘방증’은 앞선 다른 단어들보다 조금은 낯설고 어려운 단어일 수 있지만 우리 일상생활에서 심심치 않게 쓰이는 단어이기 때문에 모르셨던 분들은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고 넘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자, 그럼 먼저 국어사전에 나온 ‘반증’과 ‘방증’의 뜻부터 같이 살펴보도록 할까요?
- 반증: 어떤 사실이나 주장이 옳지 아니함을 그에 반대되는 근거를 들어 증명함. 또는 그런 증거.
예를 들어) 나에게 현재로선 그 사실을 뒤집을 만한 반증이 없다.
- 방증: 사실을 직접 증명할 수 있는 증거가 되지는 않지만, 주변의 상황을 밝힘으로써 간접적으로 증명에 도움을 줌. 또는 그 증거.
예를 들어) 은메달 스트레스는 메달 지상주의를 부추기는 올림픽의 현실을 방증하는 예다.
■ 내용은 이만하면 됐고, 암기 꿀팁 나갑니다!
‘반증’의 사전적 정의를 보면 알 수 있듯 – ‘반대되는 근거’와 관련이 있습니다.
‘반증’의 ‘반’과 ‘반대되는 근거’의 ‘반’이 공통으로 쓰이는 글자임을 기억하시면, 두 단어가 헷갈리실 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우리 앞으로는 ‘반증’과 ‘방증’ 헷갈리지 말자고요.
[헷갈리는 맞춤법] 우리 나라, 저희 나라
안녕하세요. 오늘은 얼핏 알고는 있지만 확신이 없거나, ‘왜? 이 단어가 맞고, 이 단어는 안 되지?’라는 의문이 들법한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을 가져와 봤습니다. 바로, ‘우리 나라’와 ‘저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에요, 예요, 이에요, 이어요
안녕하세요. 오늘 여러분들과 함께 이야기 나눠볼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은 바로, ‘에요’, ‘예요’, ‘이에요’, ‘이어요’입니다. 글자의 생김새나, 발음이 비슷해서 앞선 네 가지 맞춤법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한번, 한 번
안녕하세요. 오늘 다뤄볼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은 ‘한번’과 ‘한 번’입니다. 잉? 주인장 장난하시는 거요? 똑같은 말이잖소! 글자도 똑같고 차이점이라고는 띄어쓰기 한 칸에 불과하죠. 하지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메다, 매다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는 ‘베다’와 ‘배다’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 보았는데요. ‘베다’와 ‘배다’처럼 단어의 ‘ㅔ’와 ‘ㅐ’ 모음만 다르면 두 단어를 구분하는데 헷갈리는 경우가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베개, 배개
안녕하세요. 여러분. 우리나라 말 중에는 형태나 소리가 비슷해서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이 참으로 많죠? 오늘은 우리가 매일 같이 접하고 있는 사물 중에 막상 글로 쓰려고 하면 그때마다 타자
ohsho30.tistory.com
'- 우리말 바로잡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너머, 넘어 (0) | 2023.03.05 |
---|---|
[헷갈리는 맞춤법] 애먼 사람, 엄한 사람 (0) | 2023.03.04 |
[헷갈리는 맞춤법] 우리 나라, 저희 나라 (0) | 2023.03.02 |
[헷갈리는 맞춤법] 제고, 재고 (0) | 2023.03.01 |
[헷갈리는 맞춤법] 우레, 우뢰 (0) | 202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