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얼핏 알고는 있지만 확신이 없거나, ‘왜? 이 단어가 맞고, 이 단어는 안 되지?’라는 의문이 들법한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을 가져와 봤습니다.
바로, ‘우리 나라’와 ‘저희 나라’입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표현이 올바른 표현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왼쪽이요? 오른쪽이요? 둘 다 올바른 표현 아니냐고요?
네, 그럼 지금부터 ‘우리 나라’와 ‘저희 나라’에 대해 천천히 공부해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우선, ‘우리 나라’와 ‘저희 나라’ 중 어떤 게 올바른 표현인지를 아시려면, ‘나라’라는 단어에 집중하셔야 합니다.
나라의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죠.
- 나라: 일정한 영토와 거기에 사는 사람들로 구성되고, 주권(主權)에 의한 하나의 통치 조직을 가지고 있는 사회 집단.
이러한 뜻을 가진 ‘나라’는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낮추거나 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죠.
이 부분이 중요합니다.
비슷한 예로 ‘민족’도 있는데요. ‘민족’ 역시 ‘다른 민족’과 관련지어 낮추거나 할 수 없죠.
따라서, ‘우리’의 낮춤말인 ‘저희’를 써서 ‘저희 나라’와 같이 표현하는 것은 잘못된 표현이 되는 것입니다.
앞으로는 반드시 ‘우리 나라’로 올바르게 사용해야 할 것입니다.
■ 하나 더 알아가기!
예를 들어) “[우리 나라/우리나라]는 디지털 문화 강국이야.”
위의 예문에 나와 있는 ‘우리 나라’와 ‘우리나라’ 이 두 가지 띄어쓰기 중 올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네, 정답은 둘 다 가능합니다.
굳이 나눠 설명하자면, 한국인이 한국을 지칭하는 경우에는 한 단어인 '우리나라'를 쓰고, 외국인이 자신의 나라를 가리킬 때는 ‘우리 나라’라고 쓰는 게 조금 더 적절한 표현 방법이긴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 둘을 별도로 구분하기보단 혼용하고 있어, 확실한 기준을 세우기는 모호한 측면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헷갈리는 맞춤법] 제고, 재고
안녕하세요. 오늘 여러분들과 이야기해 볼 맞춤법 표현은 ‘제고’와 ‘재고’입니다. ‘제고’와 ‘재고’처럼 ‘ㅔ’와 ‘ㅐ’ 하나의 모음만 차이가 날 경우, 헷갈리기 쉽죠. 예전에 한 번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에요, 예요, 이에요, 이어요
안녕하세요. 오늘 여러분들과 함께 이야기 나눠볼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은 바로, ‘에요’, ‘예요’, ‘이에요’, ‘이어요’입니다. 글자의 생김새나, 발음이 비슷해서 앞선 네 가지 맞춤법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건드리다, 건들이다
여러분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말에는 발음이 비슷한 말들이 많아서 글로 적으려고 하면 망설여지실 때가 있으시죠? 이번 장에서 같이 볼 단어도 그런 단어 중에 하나입니다. 바로! 바로! ‘건드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그럼으로, 그러므로
안녕하세요. 오늘 이번 시간에 이야기해 볼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은 ‘그럼으로’와 ‘그러므로’입니다. 글자 형태나 발음이 비슷해서 쉽게 감이 안 오시죠? 과연 어떤 단어가 올바른 맞춤법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로서, 로써
우리가 흔히 헷갈리는 맞춤법 중에는 '~로서'와 '~로써'의 쓰임이 있죠. 이 두 가지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지금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로서'와 '~로써'의 쓰임이 다르다는 것을 알
ohsho30.tistory.com
'- 우리말 바로잡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애먼 사람, 엄한 사람 (0) | 2023.03.04 |
---|---|
[헷갈리는 맞춤법] 반증, 방증 (0) | 2023.03.03 |
[헷갈리는 맞춤법] 제고, 재고 (0) | 2023.03.01 |
[헷갈리는 맞춤법] 우레, 우뢰 (0) | 2023.02.27 |
[헷갈리는 맞춤법] 에요, 예요, 이에요, 이어요 (0) | 2023.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