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잘 알고 있는 것 같은데 막상 쓰려고 하면 이거였나? 저거였나? 하면서 헷갈리기 쉬운 단어죠?
바로, ‘반듯이’와 ‘반드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말에는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반듯이’와 ‘반드시’의 단어 뜻부터 같이 살펴볼까요?
<단어의 뜻!>
- 반듯이 :
1. 작은 물체, 또는 생각이나 행동 따위가 비뚤어지거나 기울거나 굽지 아니하고 바르게.
예를 들어) 술에 취한 그는 반듯이 걷지 못하고 휘청거리며 걷고 있다
- 반드시 :
1. 틀림없이 꼭.
예를 들어) 반드시 합격해서 부모님께 효도할 것이다.
한글 맞춤법 제25항에서는 '-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나 '-이'가 붙어서 부사가 되거나, 부사에 '-이'가 붙어서 뜻을 더하는 경우에는 그 어근이나 부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생각해 볼 때,
'반듯이'는 ’반듯하다‘의 원래 의미를 유지하고 있으며, '반듯'에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으로 보고 원래 형태를 유지해서 적은 것입니다.
이와는 다르게 ’반드시‘는 '반듯하다'의 어근 '반듯'과의 관련성이 없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죠. 그래서 '반드시'와 같이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이랍니다.
■ 내용은 이만하면 됐고, 암기 꿀팁 나갑니다!
’반듯이‘와 ’반드시‘를 구별하는 암기 팁으로는 의미가 유사한 단어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문장에서 [반듯이/반드시] 두 개가 헷갈리는 자리에 ‘반듯하게’를 넣어서 자연스러우면 ‘반듯이’를 사용하고, ‘꼭’이라는 단어로 집어넣었을 때 자연스러우면 ‘반드시’를 사용하는 것이지요.
‘반듯이’와 ‘반드시’ 잊지 말자고요^^
[헷갈리는 맞춤법] 개발, 계발 (feat. 자기 개발, 자기 계발)
[헷갈리는 맞춤법] 개발, 계발 (feat. 자기 개발, 자기 계발)
안녕하세요. 오늘 여러분들과 다뤄볼 맞춤법 표현은 ‘개발’과 ‘계발’입니다. “똑같은 뜻을 가진 단어 아니야?”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과연, ‘개발’과 ‘계발’은 동의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깨뜨리다, 깨트리다 / 망가뜨리다, 망가트리다 / 떨어뜨리다, 떨어트리다
[헷갈리는 맞춤법] 깨뜨리다, 깨트리다 / 망가뜨리다, 망가트리다 / 떨어뜨리다, 떨어트리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 여러분들과 함께 살펴볼 헷갈리는 맞춤법은 무엇일까요? 두구! 두구! 바로, ‘깨뜨리다 vs 깨뜨리다’, ‘망가뜨리다 vs 망가트리다’, ‘떨어뜨리다 vs 떨어트리다’입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그럼으로, 그러므로
안녕하세요. 오늘 이번 시간에 이야기해 볼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은 ‘그럼으로’와 ‘그러므로’입니다. 글자 형태나 발음이 비슷해서 쉽게 감이 안 오시죠? 과연 어떤 단어가 올바른 맞춤법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역할, 역활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고들 있으신가요? 오늘 다뤄볼 헷갈리는 맞춤법은 ‘역할’과 ‘역활’입니다. 발음도 비슷하고 ‘자장면’이나 ‘짜장면’처럼 복수 표준어인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깨끗이, 깨끗히 (Feat. 틈틈이, 틈틈히)
[헷갈리는 맞춤법] 깨끗이, 깨끗히 (Feat. 틈틈이, 틈틈히)
안녕하세요. 오늘 우리가 알아볼 헷갈리는 맞춤법은 ‘깨끗이’와 ‘깨끗히’입니다. 먼저 정답부터 말씀드리면 정답은 ‘깨끗이’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깨끗이’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
ohsho30.tistory.com
'- 우리말 바로잡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틀리다, 다르다 (0) | 2023.02.01 |
---|---|
[헷갈리는 맞춤법] 심난, 심란 (0) | 2023.01.31 |
[헷갈리는 맞춤법] 개발, 계발 (feat. 자기 개발, 자기 계발) (0) | 2023.01.29 |
[헷갈리는 맞춤법] 모른 체, 모른 채 (feat. '체'와'채') (0) | 2023.01.28 |
[헷갈리는 맞춤법] 깨뜨리다, 깨트리다 / 망가뜨리다, 망가트리다 / 떨어뜨리다, 떨어트리다 (0)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