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 우리가 공부해 볼 헷갈리는 맞춤법은 ‘데’와 ‘대’입니다.
‘비데’, ‘순대’처럼 일반적인 단어는 우리가 잘 알고 있지만, 문제는 ‘데’와 ‘대’가 ‘어미’로 쓰일 때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다는 것인데요.
학계에서는 이 두 어미가 발음이 다르다고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우리 주변에서 이 두 발음을 따로 구별해 말하는 사람들도 적을뿐더러 그걸 제대로 알아듣기도 힘든 것이 사실이죠. 이처럼 ‘데’와 ‘대’의 맞춤법이 헷갈리는 것은, 소리가 비슷한 부분도 한몫했다고 생각합니다.
cf. ‘어미’는 용언(동사, 형용사) 및 서술격 조사(-이다)가 활용하여 변하는 부분을 말하는데요. ‘예쁘다’, ‘예쁘고’,‘예쁘니’ … 에서 ‘다’,‘고’,‘니’ 등을 말합니다.
자, 그럼 ‘데’와 ‘대’가 어떻게 다른지를 먼저 알아야겠죠?

‘-데’ : 화자(말하는 이)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말할 때 쓰이는 어미로서, “-더라”와 비슷한 의미로 쓰입니다.
예를 들어,
1. 수박이 참 맛있데.
2. 차가 생각보다 내부가 크데.
‘-대’ :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상대방에게 전달할 때 쓰입니다.
예를 들어,
1. 옆집 강아지 예쁘대.
2. 철수가 올해 졸업한대.
cf. ‘-대’는 ‘-다(고) 해’가 줄어서 생긴 말이라는 점을 머릿속에 기억하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 내용은 이만하면 됐고, 암기 꿀팁 나갑니다!
내가 직접 경험한 걸 남에게 말하면 ‘-데’
남이 한 말을 전할 때는 ‘-대’
이 두 가지만 기억하세요^^
[헷갈리는 맞춤법] 로서, 로써
우리가 흔히 헷갈리는 맞춤법 중에는 '~로서'와 '~로써'의 쓰임이 있죠. 이 두 가지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지금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로서'와 '~로써'의 쓰임이 다르다는 것을 알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안, 않 (Feat. 부정문)
우리가 흔히 헷갈리는 맞춤법 중에는 ‘안’과 ‘않’의 쓰임이 있죠. 이 두 단어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지금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안’과 ‘않’을 이야기하기 전에 단형 부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안되, 안돼
우리가 흔히 헷갈리는 맞춤법으로는 ‘안되, 안돼’가 있죠. 이 두 단어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방법 ❶ : ‘돼’와 ‘되’가 쓰이는 자리에 ‘되어’를 바꿔 넣어서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메다, 매다
안녕하세요. 저번 시간에는 ‘베다’와 ‘배다’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 보았는데요. ‘베다’와 ‘배다’처럼 단어의 ‘ㅔ’와 ‘ㅐ’ 모음만 다르면 두 단어를 구분하는데 헷갈리는 경우가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좇다, 좆다, 쫓다, 쫒다
안녕하세요. 오늘 우리가 함께 알아볼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은 ‘좇다’, ‘좆다’, ‘쫓다’, ‘쫒다’입니다. 여러분들도 이 단어들 때문에 헷갈리신 경험들 있으시죠? ‘좇다’, ‘좆다’,
ohsho30.tistory.com
'- 우리말 바로잡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맞춤법] 손톱깎이, 손톱깎기 (Feat. 호두) (0) | 2022.12.30 |
---|---|
[헷갈리는 맞춤법] 든지, 던지 (0) | 2022.12.29 |
[헷갈리는 맞춤법] 단언컨대, 단언컨데 (0) | 2022.12.15 |
[헷갈리는 맞춤법] 웬, 왠 / 웬만하면, 왠만하면 / 웬지, 왠지 (0) | 2022.12.12 |
[헷갈리는 맞춤법] 어떻게, 어떡해 (Feat. 오랜만에, 오랫만에) (0) | 2022.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