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상 따라잡기 -

방어기제 종류와 특징 (보상, 승화, 합리화, 투사, 반동형성, 치환, 대리형성)

ohsho30 2023. 2. 20. 09:00
300x250

 

안녕하세요.

 

오늘 이야기해 볼 소재는 '방어기제'입니다.

 

여러분들은 ‘방어기제’에 대해 잘 알고 있으신가요?

 

TV나 책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이기도 하고 대충 어떤 느낌인지는 알겠는데 설명하자니 막상 막막한 그런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오늘 저와 함께 이 '방어기제'를 공부하시고 앞으로는 당당하게 남들 앞에서 아는 척을 하자고요!

 

 

, 먼저 방어기제란 무엇인가?’ 그 정의에 대해 알아볼까요?

 

'방어기제란, 자아를 보호하기 위한 자아의 전략'을 말하는데요. 받아들이기가 힘든 잠재적 불안이나 위협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의 욕망을 조절하거나 왜곡하여 마음의 안정을 찾으려는 것을 말하지요.

 

'방어기제'의 종류에는 크게 일곱 가지가 있습니다.

 

<보상>, <승화>, <합리화>, <투사>, <반동형성>, <치환>, <대리형성>

 

 

, 그럼 이들의 각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볼까요?

 

1. 보상: 자신의 부족한 점을 장점으로 보충하여 본래의 부족함으로부터 자아를 보호하려는 것.

 

예를 들어) 운동을 잘못하는 아이가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경우.

 

2. 승화: 바람직하지 않은 욕구를 사회에서 인정하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바꾸는 것.

 

예를 들어) 폭력적인 성향을 지닌 사람이 UFC 선수가 되는 경우.

 

3. 합리화: 난처한 상황, 실패 등을 다른 이유를 붙여 정당화하는 것.

 

예를 들어) 집값이 비싸 지방에 집을 산 사람이 지방이 교통이 수월해 더 살기 좋다고 말하는 경우.

 

4. 투사: 자기 잘못이나 허물을 인정하거나 받아들이지 않고 다른 탓으로 넘기는 것.

 

예를 들어) 수능을 망친 학생이 고액 과외를 받지 않았기 때문에 수능을 못 봤다고 말하는 경우.

300x250

5. 반동형성: 자기의 욕구에 반대되는 행동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것.

 

예를 들어) 미스코리아 진이 발표되기 전 서로들 상대방이 될 거 같다며 지나치게 칭찬하는 경우.

 

6. 치환: 충동이나 욕구를 다른 것으로 대신해 만족하는 것.

 

예를 들어) 군 간부에게 혼난 병장이 자기보다 계급이 낮은 일병을 때리는 경우.

 

7. 대리형성: 목표를 성취하지 못할 때, 그것과 유사한 것을 얻음으로써 만족을 얻는 것.

 

예를 들어) 연예인 아이유를 좋아하는 남성이 아이유와 비슷한 느낌의 일반인을 만나는 경우.

 

 

'방어기제'는 참 그 종류가 다양한 것 같습니다.

 

시회가 발전함에 따라 이런 심리학적인 용어나 지식들이 우리 사회에서 중시되고 있는 만큼, '방어기제'처럼 우리 주변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들은 한 번쯤 공부하고 넘어가는 것이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우리 잊지 말자고요!

 

방어기제 - <보상>, <승화>, <합리화>, <투사>, <반동형성>, <치환>, <대리형성>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