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상 따라잡기 -

논란의 서울 '평화의 소녀상', 치유와 희망의 상징

ohsho30 2023. 3. 18. 00:05
300x250

 

안녕하세요.

 

요즘 뉴스를 보면 일본이 많이 등장하며 '소녀상'과 관련된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들려오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소녀상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간략하게 나마 소녀상에 대해 공부해 보는 건 어떨까요?

 

 

 

 

■ 배경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은 일본군을 위한 '위안부'로 한국, 중국 및 기타 아시아 국가에서 여성들을 강제로 모집했습니다. 이 여성들은 신체적, 정서적 학대를 당했고 종종 강간과 구타를 당했습니다. 전쟁 중 일본군에 의해 최대 20만 명의 여성이 성노예로 끌려간 것으로 추정됩니다.

 

 

전쟁이 끝난 후 몇 년 동안 "위안부" 문제는 거의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었습니다. 한국 정부는 재건에만 몰두하며 문제 해결에 우선순위를 두지 않았고, 일본은 군이 자행한 전쟁 범죄에 대해 책임을 부인했습니다.

 

 

 

 

■ 동상의 목적

 

'평화의 소녀상'은 성노예 생존자와 그 가족의 희망과 회복의 상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동상은 의자에 앉아있는 어린 소녀를 묘사하고 있으며 그녀 옆에는 빈 의자가 놓여있어 전쟁 후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 모든 여성의 부재를 상징합니다. 동상은 전쟁 중 일본군이 저지른 잔학 행위와 정의와 책임의 필요성을 일깨워줍니다.

 

 

 

■ 관련 사건

 

소녀상 설치는 일본 정부와 성노예 문제의 범위를 부정하거나 경시하는 우익 단체들의 항의에 부딪혔습니다. 2012년 일본 정부는 소녀상이 전시 청구권을 해결한 1965년 한일 조약을 위반했다고 주장하며 철거를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표현의 자유와 역사적 기억의 중요성을 이유로 소녀상 철거를 거부했습니다.

 

300x250

 

2015년에는 한국 부산의 일본 영사관 앞에 유사한 동상이 설치되어 양국 간의 긴장이 더욱 고조되었습니다. 일본은 주한 대사를 소환하고 경제 제재를 가함으로써 대응했습니다.

 

 

 

 

■ 일본과의 갈등

 

소녀상을 둘러싼 논란은 한일 외교관계의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일본은 소녀상 철거를 거듭 요구해 왔으며 성노예 피해자에 대한 공식적인 사과와 보상을 거부해왔습니다. 이 문제는 한국이 일본의 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이 없다고 비난하고 일본이 한국을 정치적 이익을 위해 사용한다고 비난하면서 양국 관계를 긴장시켰습니다. 양국 간의 이런 긴장에도 불구하고 "평화의 소녀상"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성노예 생존자들을 위한 기억과 치유의 중요한 상징으로 남아 있습니다.

 

 

 

 

[헷갈리는 맞춤법] 열사(烈士), 의사(義士)

 

[헷갈리는 맞춤법] 열사(烈士), 의사(義士)

안녕하세요. 여러분. 요즘 제가 한국사 공부에 흠뻑 빠져있는데요. 그러다 보니 ‘열사(烈士)’와 ‘의사(義士)’가 어떤 차이가 있고, 또 어떻게 쓰이는지 궁금하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기회에

ohsho30.tistory.com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