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플롯 짜는 법] 조르쥬 폴티의 36가지 극적 상황 간단 정리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소설을 작성하는 다양한 플롯 중에 ‘조르쥬 폴티’라는 사람이 주장한 '36가지 극적 상황'에 대해 간략히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소설을 쓰시거나 이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한 번 훑어보시고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조르쥬 폴티’의 책 구매를 추천합니다!
<조르쥬 폴티의 36가지 극적 상황>
1. 간청: 캐릭터는 강력한 개인이나 권위로부터 도움이나 자비를 구합니다. 여기서 극적 상황은 그 캐릭터의 요청이 승인될 것인지 거부될 것인지에 따라 발생합니다.
2. 구조: 한 캐릭터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다른 캐릭터에 의해 구해집니다.
3. 범죄와 복수: 한 캐릭터가 심각한 범죄를 저질러 다른 캐릭터가 복수를 하도록 촉발합니다.
4. 혈족에 대한 복수: 여기에서 복수는 가족 내에서 이루어지며 혈연관계를 복잡하게 만듭니다.
5. 추격: 캐릭터(도망자)가 다른 캐릭터(추격자)에게 쫓기는 것. 극적 상황은 이러한 추격에서 발생합니다.
6. 재난: 강인하고 때로는 거만했던 캐릭터가 갑작스럽고 중대한 몰락을 경험하게 됩니다.
7. 불행의 희생양: 순진한 캐릭터가 타인의 불행이나 잔인함에 고통받으며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8. 반란: 잔인한 지도자나 폭군은 종종 주인공이 이끄는 사람들에 의해 전복됩니다.
9. 대담한 리더: 캐릭터(대담한 리더)는 도전적인 작업이나 임무를 수행하여 다른 사람들이 참여하도록 영감을 줍니다.
10. 납치: 납치된 자를 구조하는 임무를 수행합니다.
11. 수수께끼: 어떤 캐릭터(심문관)는 미스테리나 수수께끼를 풀어 서스펜스와 음모를 만들어내야 합니다.
12. 얻기: 두 명의 캐릭터가 원하는 물건을 놓고 경쟁하거나, 한 명의 캐릭터가 가치 있는 것을 얻기 위해 노력합니다.
13. 가족의 적개심: 가족 구성원은 적이 되어 가족 관계에 극적 상황을 가져옵니다.
14. 가족 간의 경쟁: 가족 구성원이 경쟁자가 되어 가족 내에서 긴장과 갈등을 일으킵니다.
15. 살인과 치정: 삼각관계가 살인으로 확대되어 서스펜스와 도덕적 복잡성 요소가 추가됩니다.
16. 광기: 캐릭터의 광기는 다른 사람에게 해를 입히고 스토리에 혼돈과 예측 불가능성을 야기합니다.
17. 치명적인 경솔함: 캐릭터의 무지나 부주의는 자신을 몰락시키거나 타인을 파멸로 이끕니다.
18. 사랑의 비자발적 범죄: 캐릭터가 의도치 않게 사랑하는 사람을 몰락시키거나 죽음에 이르게 하여 비극적인 요소를 더합니다.
19. 인식하지 못한 가족 살해: 캐릭터가 자신도 모르게 가족을 살해하고 나중에 진실이 밝혀지면 충격을 받습니다.
20. 이상을 위한 자기 희생: 캐릭터는 더 큰 대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며 감탄과 상실감을 불러일으킵니다.
21. 가족를 위한 자기 희생: 캐릭터가 가족을 구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여 감정적 영향을 강화합니다.
22. 열정을 위해 희생된 모든 것: 캐릭터의 강렬한 열정은 자신과 타인을 고통스럽게 하며 집착의 파괴성을 드러냅니다.
23. 사랑하는 사람의 희생 필요: 캐릭터는 더 큰 선을 위해 아끼는 사람을 희생시키는 고통스러운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24. 우등과 열등의 경쟁: 캐릭터 간의 불평등한 경쟁으로 둘의 한계를 시험합니다.
25. 간음: 캐릭터의 외도는 결혼 생활을 위협하며 대인관계 드라마와 갈등으로 이어집니다.
26. 사랑의 범죄: 캐릭터는 사랑 때문에 범죄를 저질러 도덕적 판단을 복잡하게 만듭니다.
27. 사랑하는 사람의 큰 잘못 발견: 사랑하는 사람의 잘못을 알게 된 캐릭터는 배신감과 갈등을 겪게 됩니다.
28. 사랑의 장애물: 사랑에 빠진 두 인물이 어떤 장애물로 인해 함께 할 수 없게 되면서 서사에 긴장감과 그리움을 자아낸다.
29. 적을 사랑하다: 캐릭터는 자신의 적인 사람과 사랑에 빠지며 사랑과 의무 사이에서 내적 갈등을 일으킵니다.
30. 야망: 캐릭터(야망 있는 사람)는 성공, 권력 또는 부에 대한 강한 열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적과 맞서거나 개인적인 희생을 치러야 할 수도 있습니다.
31. 신과의 갈등: 필멸의 캐릭터가 신이나 극복할 수 없는 힘에 도전하거나 저항하며 신이나 불가피한 것에 대한 인간의 투쟁을 보여줍니다.
32. 잘못된 질투: 캐릭터가 사랑하는 사람이 바람을 피웠다고 잘못 믿고 불필요한 갈등과 드라마로 이어집니다.
33. 잘못된 판단: 캐릭터가 잘못된 판단이나 고발을 하여 다른 캐릭터에게 과분한 불행을 안겨주고 나중에 진실이 밝혀졌을 때 죄책감을 느끼게 합니다.
34. 회개: 캐릭터(범인)는 자신의 잘못에 대해 깊은 죄책감이나 후회를 느끼며, 종종 속죄의 욕구로 이어집니다.
35. 잃어버린 사람의 회복: 캐릭터는 소중한 사람을 잃고 일정 기간 찾다가 결국 찾게 됩니다.
36.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 캐릭터(주인공)는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경험하고 다른 캐릭터가 이를 목격하여 깊은 슬픔에 빠지고 종종 주인공의 목표나 행동에 변화를 가져옵니다.
[헷갈리는 맞춤법] 사레들리다, 사례들리다, 사래들리다
[헷갈리는 맞춤법] 사레들리다, 사례들리다, 사래들리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 여러분들과 함께 살펴볼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은 다름 아닌 [사레들리다/사례들리다/사래들리다]입니다. 일상에서 자주 쓰는 말이긴 한데 막상 글로 옮겨 적으려고 하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별의별, 별에별 / 실랑이, 실갱이
[헷갈리는 맞춤법] 별의별, 별에별 / 실랑이, 실갱이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 여러분들과 이야기 나눠볼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은 두 가지인데요. 바로 [별의별/별에별]과 [실랑이/실갱이]입니다. 저 두 가지 모두 TV나 책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죠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이제, 인제
안녕하세요, 여러분. 벚꽃이 개화한 지도 얼마 되지 않았는데 비가 오면서 꽃잎들이 바닥에 무참히 떨어지고 있습니다. 아직 벚꽃 구경 다녀오지 않으신 분들은 어서어서 다녀오세요. 참으로 예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부기, 붓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고 있으신가요? 오늘 여러분들과 이야기 나눠볼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은 ‘부기’와 ‘붓기’입니다. 제 블로그에 있는 다른 단어들과 마찬가지로 ‘
ohsho30.tistory.com
[헷갈리는 맞춤법] 어떻게, 어떡해 (Feat. 오랜만에, 오랫만에)
[헷갈리는 맞춤법] 어떻게, 어떡해 (Feat. 오랜만에, 오랫만에)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 우리가 알아볼 헷갈리는 맞춤법 표현은 ‘어떻게’와 ‘어떡해’입니다. 말할 때는 두 단어가 비슷하게 소리가 들리는 관계로 이 둘을 막상 글로 쓰려고 하면 ‘이거
ohsho30.tistory.com